한국어능력시험 (TOPIK) 이란?
TOPIK은 Test of Proficiency of Korean의 줄임말로써, 한국어능력시험을
말합니다.
1. 시험의 목적
-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재외동포 ·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방향 제시 및 한국어 보급 확대
- 한국어 사용 능력을 측정 · 평가하여 그 결과를 국내 대학 유학 및 취업 등에 활용
2. 응시대상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재외동포 및 외국인으로서
- 한국어 학습자 및 국내 대학 유학 희망자
- 국내 · 외 한국 기업체 및 공공기관 취업 희망자
- 외국 학교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한 재외국민
3. 시험의 종류
- 한국어능력시험(TOPIK)
종래의 B-TOPIK(Business TOPIK)은 2011년도부터 폐지
4. 시험의 수준 및 등급
- 시험 수준 : 초급, 중급, 고급
- 시험 등급 : 6개 등급 (1급~6급)
시험 수준 | 초급 | 중급 | 고급 | |||
---|---|---|---|---|---|---|
시험등급 | 1급 | 2급 | 3급 | 4급 | 5급 | 6급 |
등급결정 | 시험 성적에 따라 응시한 시험 내에서 평가 등급 결정 |
5. 평가 영역 및 배점
- 평가 영역 : 4개 영역(어휘 · 문법, 쓰기, 듣기, 읽기)
- 배 점 : 각 영역별 100점씩 총 400점 만점
6. 문항 구성
-영역별 구성
교 시 |
제1교시 |
제2교시 |
계 |
|||
---|---|---|---|---|---|---|
영 역 |
어휘 · 문법 |
쓰기 |
듣기 |
읽기 |
4영역 |
|
유 형 |
선택형 |
서답형 |
선택형 |
선택형 |
선택형 |
선택형 / |
문항수 |
30 |
4~6 |
10 |
30 |
30 |
104~106 |
배 점 |
100 |
60 |
40 |
100 |
100 |
400 |
-문제 유형
* 선택형 문항(4지 택 1형)
* 서답형 문항(쓰기 영역)
· 문장/문단 완성하기, 문장/문단 쓰기 : 3~5문항
· 작문 (초급 150~300자, 중급 400~600자, 고급 700~800자) : 1문항
7. 문제지 종류 : 2종 (A · B형)
- A · B형 문제지는 답란의 배열을 50%이상 상이하게 출제
종류 |
A형 |
B형 |
---|---|---|
시행지역 |
미주 · 유럽 · 아프리카 |
한국 · 오세아니아 · 아시아 |
시행요일 |
토요일 |
일요일 |
8. 출제 기본방침
- 현대 한국어 구사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내용의 문항 구성
- 각 평가 영역과 내용 간의 균형 있는 출제
- 한국 문화와 사회 전반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문항 출제
- 국내외 한국어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을 광범위하게 참조하여 출제
- 특정 언어권에 심하게 불리하거나 유리한 문항 출제 지양
9. 등급별 평가 기준
등 급 | 평 가 기 준 | |
---|---|---|
초급 | 1급 |
|
2급 |
|
|
중급 | 3급 |
|
4급 |
|
|
고급 | 5급 |
|
6급 |
|
10. 쓰기 영역 작문 문항의 평가 범주
평가 범주 | 평가 내용 | |
---|---|---|
내용 및 과제 수행 | 요구된 내용을 적절하게 포괄하며, 과제를 잘 수행하였는가를 평가 | |
글의 전개 구조 | 적절한 문단 구조를 이용하고 담화 장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응집성 있게 구성하였는가를 평가 | |
언어 사용 | 어 휘 | 어휘를 적절하고 정확하며 유창하게 사용하였는가를 평가 |
문 법 | 문법을 적절하고 정확하며 유창하게 사용하였는가를 평가 | |
맞춤법 | 맞춤법에 맞게 표기하였는가를 평가 | |
사회언어학적 격식 | 작문의 장르적 특성 등에 맞추어 격식(register)의 사용이 적절한가를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