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능력시험

KOREAN CULTURAL CENTER

  • 한국어능력시험
  • TOPIK 공지사항

한국어능력시험 (TOPIK) 이란?

2013.08.20. | 1328 Hit




제목 없음




 


 


TOPIK은 Test of Proficiency of Korean의 줄임말로써, 한국어능력시험을
말합니다.


 


 


1. 시험의 목적



 


-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재외동포 ·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방향 제시 및 한국어 보급 확대


 



- 한국어 사용 능력을 측정 · 평가하여 그 결과를 국내 대학 유학 및 취업 등에 활용

 


 


2. 응시대상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재외동포 및 외국인으로서


 


- 한국어 학습자 및 국내 대학 유학 희망자



 


- 국내 · 외 한국 기업체 및 공공기관 취업 희망자



 

- 외국 학교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한 재외국민


 


 


3. 시험의 종류



 


- 한국어능력시험(TOPIK)


 


종래의 B-TOPIK(Business TOPIK)은 2011년도부터 폐지


 


 


4. 시험의 수준 및 등급



 


- 시험 수준 : 초급, 중급, 고급



 


- 시험 등급 : 6개 등급 (1급~6급)


 
























시험종류
시험 수준 초급 중급 고급
시험등급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등급결정 시험 성적에 따라 응시한 시험 내에서 평가 등급 결정

 


 


5. 평가 영역 및 배점



 


- 평가 영역 : 4개 영역(어휘 · 문법, 쓰기, 듣기, 읽기)



 

- 배 점 : 각 영역별 100점씩 총 400점 만점


 


 


6. 문항 구성


 


-영역별 구성


















































 


교 시


제1교시


제2교시



영 역


어휘 · 문법


쓰기


듣기


읽기


4영역


유 형


선택형


서답형


선택형


선택형


선택형


선택형 /
서답형


문항수


30


4~6


10


30


30


104~106


배 점


100


60


40


100


100


400

 

-문제 유형

 



* 선택형 문항(4지 택 1형)


 


* 서답형 문항(쓰기 영역)


 


   · 문장/문단 완성하기, 문장/문단 쓰기 : 3~5문항


 


   · 작문 (초급 150~300자, 중급 400~600자, 고급 700~800자) : 1문항

 


 


7. 문제지 종류 : 2종 (A · B형)


 



- A · B형 문제지는 답란의 배열을 50%이상 상이하게 출제



















문제지 종류

종류


A형


B형


시행지역


미주 · 유럽 · 아프리카


한국 · 오세아니아 · 아시아


시행요일


토요일


일요일

 


 


8. 출제 기본방침


 



- 현대 한국어 구사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내용의 문항 구성


 



- 각 평가 영역과 내용 간의 균형 있는 출제


 



- 한국 문화와 사회 전반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문항 출제



 



- 국내외 한국어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을 광범위하게 참조하여 출제


 



- 특정 언어권에 심하게 불리하거나 유리한 문항 출제 지양


 


 


9. 등급별 평가 기준































 
등 급 평 가 기 준
초급 1급

  • ‘자기 소개하기, 물건 사기, 음식 주문하기’ 등 생존에 필요한 기초적인 언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자기 자신, 가족, 취미,
    날씨’ 등 매우 사적이고 친숙한 화제에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다.

  • 약 800개의 기초 어휘와 기본 문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간단한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 간단한 생활문과 실용문을 이해하고, 구성할 수 있다.
2급

  • ‘전화하기, 부탁하기’ 등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능과 ‘우체국, 은행’ 등의 공공시설 이용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약 1,500~2,000개의 어휘를 이용하여 사적이고 친숙한 화제에 관해 문단 단위로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 공식적 상황과 비공식적 상황에서의 언어를 구분해 사용할 수 있다.
중급 3급

  •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별 어려움을 느끼지 않으며, 다양한 공공시설의 이용과 사회적 관계 유지에 필요한 기초적 언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친숙하고 구체적인 소재는 물론, 자신에게 친숙한 사회적 소재를 문단 단위로 표현하거나 이해할 수 있다.
  • 문어와 구어의 기본적인 특성을 구분해서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4급

  • 공공시설 이용과 사회적 관계 유지에 필요한 언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업무 수행에 필요한 기능을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다.

  • 또한 ‘뉴스, 신문 기사’ 중 평이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회적 · 추상적 소재를 비교적 정확하고 유창하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 자주 사용되는 관용적 표현과 대표적인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 · 문화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고급 5급

  • 전문 분야에서의 연구나 업무 수행에 필요한 언어 기능을 어느 정도 수행할 수있다.
  •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친숙하지 않은 소재에 관해서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 공식적, 비공식적 맥락과 구어적, 문어적 맥락에 따라 언어를 적절히 구분해 사용할 수 있다.
6급

  • 전문 분야에서의 연구나 업무 수행에 필요한 언어 기능을 비교적 정확하고 유창하게 수행할 수 있다.
  •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친숙하지 않은 주제에 관해서도 이용하고 사용할 수 있다.
  • 원어민 화자의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나 기능 수행이나 의미 표현에는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10. 쓰기 영역 작문 문항의 평가 범주
































 
평가 범주 평가 내용
내용 및 과제 수행 요구된 내용을 적절하게 포괄하며, 과제를 잘 수행하였는가를 평가
글의 전개 구조 적절한 문단 구조를 이용하고 담화 장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응집성 있게 구성하였는가를 평가
언어 사용 어 휘 어휘를 적절하고 정확하며 유창하게 사용하였는가를 평가
문 법 문법을 적절하고 정확하며 유창하게 사용하였는가를 평가
맞춤법 맞춤법에 맞게 표기하였는가를 평가
사회언어학적 격식 작문의 장르적 특성 등에 맞추어 격식(register)의 사용이 적절한가를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