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실
-
주필리핀한국문화원, K-드라마 연계 한식 퓨전 워크숍 ‘맛있게 드세요’ 개최 행사 기간 2025.11.06. ~ 2025.11.14.
주필리핀한국문화원, K-드라마 연계 한식 퓨전 워크숍 ‘맛있게 드세요’ 개최 주필리핀한국문화원(원장 김명진, 이하 ‘문화원’)은 지난 11월 6일(목), 13일(목), 14일(금) 총 3회에 걸쳐 K-드라마와 연계한 ‘2025 한식 퓨전 워크숍 <맛있게 드세요>’를 개최했다. 워크숍은 문화원 3층 조리실에서 진행되었으며, 타기그(Taguig) 시청을 비롯해 인트라무로스 관리청(Intramuros Administration), 마닐라 메트로폴리탄 박물관(Metropolitan Museum of Manila) 등 현지 문화예술기관 관계자, 넷플릭스(Netflix), 내셔널 북스토어(National BookStore) 등 콘텐츠 산업 종사자, GMA·PTV 등 현지 언론인 등 총 48명이 참석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K-드라마 <폭군의 셰프>의 글로벌 흥행을 계기로 드라마 속 한식 재료와 메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퓨전 요리를 소개하고, 참가자들이 직접 조리해보는 체험형 행사로 구성되었다. ▲ K-드라마 <폭군의 셰프> 속 요리를 재구성한 전시 참가자들은 행사의 첫 순서로 드라마 속 대표 요리를 기반으로 구성된 전시를 관람하고 시식하는 시간을 가졌다. 전시 음식은 고추장 버터 비빔밥, 연잎밥, 동래파전, 흑임자 마카롱, 콩고기 구절판 등 전통 재료를 활용한 퓨전 메뉴로 구성되어 한식 재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소개했다. ▲ 된장 파스타 실습 장면 ▲ 북어 콩소메 조리 장면 백종란 한식연구가의 진행으로 된장을 활용한 ‘된장 파스타’와 북어를 현대적으로 풀어낸 ‘북어 콩소메’ 실습이 이어졌다. 참가자들은 조별로 조리 과정을 직접 체험하며 전통 한식 재료가 서양 조리법과의 조화가 만들어내는 새로운 풍미를 경험했다. ▲ 워크숍 종료 후 단체사진 문화원은 이번 행사를 통해 필리핀 주요 문화예술기관 및 콘텐츠 산업 관계자들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K-콘텐츠와 한식을 연계한 프로그램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했다. 문화원은 앞으로도 한식 재료의 다양성과 활용성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을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게시일 2025.11.21. -
주필리핀한국문화원, 제34회 한필문화교류축제 참가 행사 일자 2025.11.04.
주필리핀한국문화원, 제34회 한필문화교류축제 참가 ▲ 제34회 한필문화교류축제 단체사진 주필리핀한국문화원(원장: 김명진, 이하 ‘문화원’)은 11월 4일 마닐라 메트로폴리탄 극장 (Manila Metropolitan Theater)에서 개최된 ‘제34회 한필문화교류축제’에 참가했다. 필리핀한인총연합회가 주최/주관, 주필리핀한국대사관, 재외동포청, 필리핀문화예술위원회(National Commission for Culture and the Arts, NCCA)이 협업한 이번 행사는 2010년 필리핀 국보로 지정된 마닐라 메트로폴리탄 극장에서 개최되어 1992년 시작된 역사 깊은 축제에 더욱 의미를 더했다. ▲ (왼쪽에서부터) 길병민, 이벼리, 김현수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양국 간 교류를 더욱 활발히 하고자 마련된 이번 행사에서, 문화원은 한국과 필리핀의 공연단을 초청해 특별 무대를 선보였다. 한국에서는 유명 TV 프로그램 ‘팬텀싱어’에 출연한 길병민(베이스 바리톤), 이벼리(테너), 김현수(테너)가 초청되어 ‘마중’, ‘아름다운 나라’와 같은 한국의 아름다운 노래들과 이외 다양한 곡 들을 들려주었다. 특히 길병민은 필리핀 가곡 ‘미나마할 키타’(Minamahal Kita)를 불러 현지 관객들의 뜨거운 박수와 큰 호응을 이끌어냈다. ▲ 이스콜라스 공연단 필리핀에서는 필리핀 국립대학교(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음악대학 졸업생들로 이루어진 아카펠라 그룹 ‘이스콜라스’(Iskollas)가 공연을 펼쳤다. 2020년 한필문화교류축제 경연대회에서 우승한 이스콜라스는 필리핀을 대표하는 디스코 밴드인 VST앤컴퍼니(VST&Company)의 히트곡을 엮은 메들리와, 한국 걸그룹 소녀시대의 ‘다시 만난 세계’를 선보였다. ▲ 제34회 한필문화교류축제 경연대회 참가자 공식행사에는 주필리핀한국대사관 이상화 대사, 필리핀한인총연합회 윤만영 회장, 필리핀문화예술위원회 버난 조셉 코푸즈(Bernan Joseph Corpuz) 부사무처장 등 귀빈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공식행사 이후로 이어진 경연대회에서는 13개의 한국과 필리핀 참가자들이 서로의 노래, 춤, 언어로 공연과 스피치를 진행하며 실력을 뽐냈다. 경연대회는 세부(Cebu) 라푸라푸시(Lapu Lapu City)에서 참가한 최연소 경연팀 영 빌런(Young Villains)이 우승했다. 한필문화교류축제의 관객들은 “양국민들이 서로의 언어와 음악으로 공연을 펼치는 것이 보기 좋았다”, “정말 인상 깊은 행사였고, 한국과 필리핀의 더 깊은 우정과 파트너십을 기대하겠다”라는 등 관람 후기를 전했다.
게시일 2025.11.10. -
필리핀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함께하는 ‘2025 APEC 정상회의 개최 기념 K-드라마 OST 콘서트’ 성료 행사 일자 2025.10.25.
필리핀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함께하는 ‘2025 APEC 정상회의 개최 기념 K-드라마 OST 콘서트’ 성료 - K-드라마 OST 워크숍·K-콘텐츠 연계 소비재 팝업스토어 통해 한·필 문화교류의 폭 넓혀 - ▲ ‘K-드라마 OST 콘서트(OST Symphony II: K-Drama in Concert)’ 공연 전경(공연 영상 제공:VIU, 넷플릭스 필리핀) 주필리핀한국문화원(원장 김명진, 이하 문화원)은 필리핀 문화예술위원회(National Commission for Culture and the Arts, NCCA), 필리핀문화전당(Cultural Center of the Philippines, CCP)과 공동으로 2025 APEC 정상회의 개최 기념 ‘K-드라마 OST 콘서트(OST Symphony II: K-Drama in Concert)’를 10월 25일(토) 타기그시(City of Taguig) SM 아우라 삼성홀(SM AURA Samsung Hall)에서 성황리에 개최했다. 필리핀을 대표하는 오케스트라인 필리핀 필하모닉 오케스트라(Philippine Philharmonic Orchestra)가 인기 K-드라마 OST를 연주한 이번 공연은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모스트콘텐츠와의 협업으로 개최되었다. 총 2회에 걸쳐 진행된 이번 공연은 약 2천 장의 티켓이 예매 오픈 5분 만에 전석 매진되었으며, 공연 당일 현장에서도 예약 취소나 미입장으로 생긴 잔여 좌석을 구하려는 관객들의 긴 줄이 이어지는 등 성황을 이루었다. 이번 콘서트에서는 〈도깨비〉, 〈사랑의 불시착〉 등 오랫동안 사랑받은 명작과 함께 〈눈물의 여왕〉, 〈폭싹 속았수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 등 최신 화제작의 OST가 연주되었으며, 필리핀 드라마 〈상그레(Sang’gre)〉의 삽입곡 ‘새로운 운명(Bagong Tadhana)’도 함께 연주되어 현지 관객의 큰 호응을 얻었다. 가수 홍이삭, 예그니(YEGNY), 그리고 필리핀 아티스트 카일린 알칸타라(Kyline Alcantara), 엔젤 가디언(Angel Guardian)이 함께 무대에 올라 국경을 넘은 감동을 전했다. 또한 모스트오케스트라의 악장 김미정 바이올리니스트가 필리핀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객원악장으로 참여해 의미를 더했다. ▲ 왼쪽부터 홍이삭, 카일린 알칸타라(Kyline Alcantara), 예그니(YEGNY), 엔젤 가디언(Angel Guardian) 이번 공연에는 이상화 주필리핀대한민국대사를 비롯해, 필리핀문화전당 케이 팅아(Kaye Tinga) 전당장, 필리핀 문화예술위원회 버난 조셉 코르푸즈(Bernan Joseph Corpuz) 부사무처장 등 한국과 필리핀 양국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행사는 한국관광공사 마닐라지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마닐라무역관, 모스트콘텐츠, 필리핀 주요 방송사 GMA 네트워크(GMA Network), Viu 필리핀(Viu Philippines), SM 슈퍼몰스(SM Supermalls) 등 여러 국내외 기관의 협업으로 추진되었다. ▲ 왼쪽부터 김명진 주필리핀한국문화원 원장, 버난 조셉 코르푸즈(Bernan Joseph Corpuz) 필리핀 문화예술위원회 부사무처장, 이상화 주필리핀대한민국대사, 케이 팅아(Kaye Tinga) 필리핀문화전당 전당장, 호아킨 산 아구스틴(Joaquin San Agustin) SM 슈퍼몰 부회장, 헤르미니힐도 라네라(Herminigildo Ranera) 필리핀필하모닉오케스트라 지휘자 공연에 앞서 10월 23일(목)에는 GMA 네트워크와의 협력으로 타기그시 BGC 아트센터(BGC Arts Center)에서 ‘K-드라마 OST 및 쇼 프로덕션 워크숍’이 열렸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 〈더 박스〉의 이종명 음악감독과 KBS〈불후의 명곡〉의 크리에이터인 권재영 연출감독이 현지 방송·음악 관계자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드라마 OST 제작 과정과 음악예능프로그램 기획에 대한 현장 노하우를 공유했다. 또한 문화원은 KOTRA 마닐라무역관과 협력하여 공연과 워크숍이 개최된 SM 아우라 삼성홀 로비, BGC 아트센터에서 ‘K-콘텐츠 연계 소비재 팝업스토어’를 운영하여 현지 방문객들의 관심을 모았다. 이번 팝업스토어는 K-팝·드라마 굿즈를 비롯해 K-푸드, 캐릭터 상품 등 다양한 한국 브랜드 제품을 선보였으며, 10월 27일부터 약 한 달간 문화원에서 전시를 이어갈 계획이다. ▲ ‘K-드라마 OST 및 쇼 프로덕션 워크숍’ 권재영 연출감독 특강▲ K-콘텐츠 연계 소비재 팝업스토어 주필리핀한국문화원 김명진 원장은 “이번 공연은 지난해 성공적으로 개최한 K-드라마 OST 콘서트를 APEC 정상회의 개최를 기념해 보다 다양하고 완성도 높게 구성한 시즌 2 형태의 공연”이라며, “특히 한국 콘텐츠 산업의 성과를 공유하는 워크숍과 한류 활용 소비재 수출 확대를 위한 팝업스토어를 연계 운영함으로써 행사의 의미를 확장했다”고 밝혔다.
게시일 2025.11.04. -
2025 필리핀 K-소비재 팝업스토어 전시 <KOREAN GOODS & CULTURE> 개최 행사 기간 2025.10.27. ~ 2025.11.29.
2025 필리핀 K-소비재 팝업스토어 전시 <KOREAN GOODS & CULTURE> 개최 - K콘텐츠-문화 행사와 연계한 팝업 전시로 한국 제품에 대한 인식 확산 시도 - ▲주필리핀한국문화원 1층 <KOREAN GOODS & CULTURE> 전시장 전경 주필리핀한국문화원(원장: 김명진, 이하 한국문화원)은 오는 11월 29일까지 한 달여간 한국문화원 1층 상설 전시장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이하 KOTRA) 마닐라 무역관 협업 필리핀 K소비재 팝업스토어 전시 <KOREAN GOODS & CULTURE> 를 개최한다. 최근 필리핀에서는 K팝, K드라마뿐만 아니라 한식, 화장품,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류가 확산 중이다. 이번 전시는 K콘텐츠의 세계화를 바탕으로 한국 상품에 대한 전 세계인의 관심도가 지속적으로 올라가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문화 행사와 연계한 한국 제품을 소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전시에는 총 8개의 한국 기업이 참여하여, K-POP 음반 및 굿즈부터 화장품, 패션 소품 등 다양한 제품 40여 종을 한자리에서 선보인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에서 진행한 <2025 해외한류실태조사>에 따르면, 한류가 한국 제품/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묻는 조사에서 필리핀 응답자의 81.6%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한류가 소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답했다. 또한, 한국인의 제품 및 서비스 품질을 신뢰한다는 응답도 97.4%를 차지하는 등 (2024 국가이미지 조사(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조사 대상국 중 신뢰도 1위) 필리핀에서 한국 제품이 매우 높은 신뢰도를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제품 중 일부를 QR코드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 ‘쇼피(Shopee)’ 등에서 온라인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할 예정이며, 단, 현장 판매는 진행하지 않는다. 또한, KOTRA의 협력으로 방문객 대상 테스트 마케팅을 통해 필리핀 내 한국 제품에 대한 구매 의향 등을 살펴볼 계획이며 이와 함께 향후 K소비재 확산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방문자 설문조사를 함께 진행한다. *테스트 마케팅(Test Marketing): 신제품을 판매할 때, 미리 특정 지역을 골라 소비자의 선호도 등을 조사ㆍ분석하여 전체의 경향을 예측하는 일 한편 전시에 진열된 제품들은 지난 10월 23일부터 25일까지 <한국 드라마 OST 관계자 워크숍> 및 <한국 드라마 OST 콘서트> 행사장 로비에서도 소개되어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현장에서 전시를 관람한 현지 관람객은 “한국문화원에서 주최하는 행사에서 전시를 보는 건 처음인데,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웠다. 더 넓은 공간에 더 많은 한국 제품들을 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한국 제품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한국 드라마 OST 콘서트> 행사장 로비 전시 김명진 문화원장은 “이번 전시는 단순히 한국 제품을 소개하는 자리가 아니라, 한국 문화 콘텐츠와 상품이 어떻게 서로 연계되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지를 실험해 보는 자리다”라며, “필리핀 현지에서 한국 제품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보다 확산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한류와 K-소비재를 연계할 수 있는 계기를 지속적으로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주필리핀한국문화원 1층 상설전시장에서 이번 달 말까지 열리는 <KOREAN GOODS & CULTURE> 전시는 월요일부터 토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누구나 무료로 관람이 가능하다.
게시일 2025.11.04. -
전통과 현대를 잇다, 주필리핀한국문화원 추석·한글날 기념 문화주간 ‘Protect the Honmoon’ 성료 행사 기간 2025.10.06. ~ 2025.10.11.
주필리핀한국문화원(원장 김명진)은 지난 10월 6일(월)부터 11일(토)까지 한국의 대표 명절인 추석과 한글날을 기념하는 문화주간 행사 <Protect the Honmoon(혼문을 지켜라): A Chuseok & Hangeul Day week-long celebration>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넷플릭스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한국 전통과 현대 문화를 결합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현지 참가자들의 높은 호응을 얻었다. ▲ 추석·한글날 기념 <Protect the Honmoon(혼문을 지켜라)> 포스터 전통과 현대문화의 만남 이번 행사는 추석이 지닌 가족·감사의 의미와 한글날이 상징하는 창의성과 정체성을 함께 조명했다. 동시에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혼문’을 문화적으로 재해석해 ‘혼문을 지킨다’는 것이 곧 한국의 문화와 전통을 지켜내는 것과 같다는 의미를 담았다. 각 프로그램을 통해 이러한 상징과 한국 문화의 가치를 동시에 체험할 수 있었다. 주요 프로그램 문화주간 동안 ‘매듭 장식 만들기’, ‘국악 클래스’, ‘한글 캘리그라피’, ‘민화 워크숍’ 등 네 가지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매듭 장식 만들기 체험 <Threads of Fate> 영화 속 주인공 루미가 진우에게 건넨 매듭 팔찌에서 착안해 한국 전통 매듭을 직접 만들어 보는 프로그램으로, 한국 공예의 섬세함과 상징성을 전했다. ▲ 매듭 장식 만들기 체험 <Threads of Fate> 국악 클래스 <Golden Melodies> 가야금, 판소리, 전통 무용을 결합하여 <케이팝 데몬 헌터스> 곡을 함께 감상하고 연주법, 전통 리듬과 춤을 배우는 프로그램이다. 익숙한 곡을 바탕으로 국악을 친근하게 배우며 전통 음악의 매력을 새롭게 느꼈다. ▲ 국악 클래스 <Golden Melodies> 한글 캘리그라피 워크숍 <Brush Off the Demons> <Golden>, <Soda Pop> 등 영화 수록곡의 한국어 부분 가사를 캘리그라피로 직접 쓰고 읽으며 의미를 탐구하는 프로그램이다. 한글의 조형미를 체감했다. ▲ 한글 캘리그라피 워크숍 <Brush Off the Demons> 까치호랑이 민화 워크숍 <Kkachi Horangi(까치호랑이) Magpie-Tiger> 영화 속 캐릭터 더피(호랑이), 서씨(까치)와 전통문화의 연계를 이해하고, 작호도를 기반으로 민화를 직접 그려보는 프로그램이다. 전통미술의 상징성과 창의성을 확장했다. ▲ 까치호랑이 민화 워크숍 <Kkachi Horangi(까치호랑이) Magpie-Tiger> 이번 추석 및 한글날 기념 문화주간 행사 <Protect the Honmoon>는 총 177명이 참여했으며,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프로그램으로 현지 참가자들의 큰 관심을 모았다. 주필리핀한국문화원은 앞으로도 문화 교류의 장을 넓히고 한국 문화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알리는 활동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게시일 2025.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