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필리핀한국문화원, 필리핀 국제만화페스티벌 참가 -‘이태원 클라쓰’ 광진 작가 초청 웹툰 강연 진행- ▲필리핀 국제만화페스티벌 내 문화원 부스 지난 7월 4일부터 6일까지, 주필리핀한국문화원(원장 김명진 이하 ‘문화원’)은‘이태원 클라쓰’의 광진 작가를 초청해 강연을 진행하고 팬데믹 이후 오프라인으로 개최된 필리핀 국제만화페스티벌(Philippine International Comics Festival, PICOF)에 처음으로 참가해 한국 웹툰을 알렸다. ▲단행본을 읽는 방문자 필리핀 국제만화페스티벌은 만화 분야 권리자 단체인 코미켓(KOMIKET)이 개최하는 필리핀 최대 만화 축제로, 현지 및 해외 만화 작가, 출판사 등이 참여해 전시와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행사이다. 7월 5일부터 6일까지 진행된 올해 페스티벌에 문화원이 참여해 한국 웹툰 단행본 전시, 만화 그리기 체험 등 참여형 부스를 운영했다. 또한 광진 작가가 현지 만화 애호가들을 대상으로 마스터클래스를 진행하며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데 라살-산 베닐 대학교 강연 단체사진 한편 7월 4일에는 데 라살-산 베닐(De La Salle-College of Saint Benilde) 대학교에서 강연이 진행되었다. 뉴미디어, 애니메이션 학과 등 학생들이 다수 참여한 행사에서는 ‘콘텐츠로 먹고 사는 방법’을 주제로 작가를 꿈꾸는 지망생들에게 광진 작가의 경험과 노하우를 전했다. 또한 학생들이 직접 그린 네 컷 만화를 확인하고 피드백을 주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7월 5일 마닐라 메트로폴리탄 박물관(Manila Metropolitan Museum)에서 진행된 토크쇼에서는‘이태원 클라쓰’가 웹툰과 드라마로 탄생된 과정을 다뤘다. 광진 작가는 “이태원의 세계 문화거리에서 자유로움을 느꼈고, 그 마음을 작품에서 전달하고 싶었다”라며 홍대, 명동 등이 아닌 ‘이태원’ 인 이유를 전했다. 토크쇼에 이어 주인공인 박새로이를 그리는 드로잉 쇼를 진행해 관객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드로잉쇼를 진행하는 광진 작가 이번 워크숍의 한 참가자는 “웹툰 작가를 꿈꾸고 있는데, 도움이 되는 현실적인 조언을 많이 얻었다”라며 소감을 전했고, 문화원 부스의 한 방문자는 “즐겨보던 웹툰을 실제 책으로 만나 볼 수 있어 즐거웠고, 더 많은 한국 웹툰에 대해 알게되어 기쁘다”며 방문 소감을 전했다.
자세히 보기
주필리핀한국문화원, 필리핀 국제만화페스티벌 참가...‘이태원 클라쓰’ 광진 작가 초청 웹툰 강연 진행
주필리핀한국문화원, ‘필리핀 영양의 달 기념’ 비빔밥 워크숍 개최 -필리핀 식재료 활용한 한식 레시피 소개- ▲ 워크숍 참가자 단체사진 지난 6월 27일, 주필리핀한국문화원(원장 김명진 이하 ‘문화원’)은 7월 필리핀 영양의 달(Nutrition Month)을 맞이하며 CJ 푸드 필리핀 법인과 함께 비빔밥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비빔밥 레시피를 소개함은 물론 한식의 영양적 가치를 필리핀 내 알리고자 개최되었다. 문화원 3층 조리실에서 개최된 워크숍에는 필리핀 대통령실 직속 필리핀 영양위원회 (National Nutrition Council, NNC), 필리핀 과학기술부(Depart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DOST) 산하 식품영양연구소 (Food and Nutrition Research Institute), 필리핀 영양사협회 (Philippine Association of Nutrition, PAN) 등 식품·영양 업계 관계자와 현지 언론인 등 20명이 참석했다. 2025 해외한류실태조사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에 따르면, 필리핀 내 한식에 대한 ‘대중적 인기’ 비율이 80.1%로 28개 조사 대상국 중 전 세계 1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여전히 한식에 대한 호감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재료/조리법을 알 수 없음’이 많이 지목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지 식재료를 활용한 비빔밥과 된장국 이에 이번 워크숍에서는 필리핀 현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식재료를 활용한 레시피를 선보여 한식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했다. 한국의 무와 비슷한 식감을 가진 차요테(Chayote 또는 Sayote)를 활용한 비빔밥과, 필리핀에서 흔히 사용하는 채소인 캉콩(Kangkong)을 사용한 된장국 레시피를 소개했다. 참가자들은 백종란 한식 연구가의 강연을 들은 뒤, 직접 조리를 하는 시간을 가지며 한식 조리법을 보다 친근하게 접할 수 있었다. ▲조리하는 참가자들 참가자들은 “한국 음식에 현지 식재료를 사용하는 방식이 새롭다”라며 “필리핀 다양한 지역의 특색 있는 채소로 비빔밥을 만들어보고 싶다”라며 참가 소감을 전했다. 문화원은 정규 한식 강좌, 현지 문화예술기관 대상 특별 한식 워크숍 개최 등을 통해 그동안 한식의 우수성을 꾸준히 알려왔다. 이번 비빔밥 워크숍을 계기로, 식품·영양 관련 정부기관 및 유관 단체들과의 지속적인 소통하여 건강한 음식으로서의 한식이 필리핀에서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자세히 보기
주필리핀한국문화원, ‘필리핀 영양의 달 기념’ 비빔밥 워크숍 개최
2025 케이팝 아카데미, 졸업 무대로 화려한 마무리 -현지 대학교 연계 ‘찾아가는 케이팝 아카데미’ 새롭게 선보여- ▲ 2025 케이팝 아카데미 학생 단체사진 지난 6월 21일, 주필리핀한국문화원(원장 김명진, 이하 ‘문화원’)은 로빈슨 갤러리아(Robinson’s Galleria)에서 케이팝 아카데미(K-POP ACADEMY) 학생들의 졸업 무대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올해 케이팝 아카데미는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진행되었으며, 지난 3월 18일 첫 수업을 시작으로 약 3개월간 이어졌다. 졸업 무대는 ‘케이팝 커버댄스 페스티벌 인 필리핀’을 기념하여 열린 ‘모두의 케이팝’ 행사에서 진행됐다. 수강생들은 에스파의 ‘Spicy’, 라이즈의 ‘Talk Saxy’, 스트레이 키즈의 ‘락’ 등을 선보이며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행사에는 유명 P팝 그룹 HORI7ON의 토크쇼도 마련되어 아이돌의 준비 과정과 마음가짐 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참가자들에게 영감을 전했다. ▲케이팝 아카데미 첫 수업 현장 올해 정규 강좌는 댄스 영상 제출을 포함한 엄격한 등록 과정을 거쳐 선발된 27명의 학생들과 함께 진행됐다. 문화원 3층 K-스튜디오에서 매주 진행된 수업은 달샤벳, 로시, 소향 등 유명 아티스트의 안무를 담당했던 오아람 에이스 댄스 스튜디오 원장의 지도로 이루어졌다. ▲찾아가는 케이팝 아카데미 수업 현장 문화원은 올해 현지 대학교 한류 동아리들과 협업해 프로그램을 확장, ‘찾아가는 케이팝 아카데미’를 새롭게 선보였다. 필리핀 국립대학교(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Ateneo De Manila University), 데 라살 대학교(De La Salle University) 등 필리핀 주요 대학 세 곳에서 진행된 특별 수업은 케이팝 댄스는 물론, 한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포함했다. 김명진 문화원장은 “케이팝 아카데미는 단순한 댄스 수업을 넘어 필리핀 청소년들에게 꿈과 열정을 심어주는 기회의 장이 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케이팝 아카데미를 통해 더 많은 학생들이 한국 문화를 경험하고 자신의 재능을 펼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자세히 보기
2025 케이팝 아카데미, 졸업 무대로 화려한 마무리
‘나에게 어울리는 K스타일 메이크업을 찾아서’ -주필리핀한국문화원, 한국 스타일 메이크업 워크숍 개최- ▲ 워크숍 참가자 단체사진 지난 5월 30일, 주필리핀한국문화원(원장 김명진 이하 ‘문화원’)은 현지 메이크업 아티스트와 함께 한국 스타일 메이크업 워크숍(K-Style Make-Up for Filipinos)을 개최했다. 2025 해외한류실태조사(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에 따르면, 필리핀 소비자에게 K-뷰티는 전체 조사국 28개국 중 인기도 1위(72.4%) 및 호감도 2위(87.3%)를 차지하였으며, 방한 필리핀의 쇼핑 품목 1순위는 화장품(63.8%)이 차지할 정도로 K-뷰티에 대한 필리핀인들의 선호가 매우 높은 편이다. 이번 행사는 지난 4월 성황리 개최된 ‘K뷰티 글로우 업’(K-Beauty Glow Up)의 후속 행사로 진행되었으며, 한국 메이크업 트렌드를 필리핀 사람들에게 더욱 잘 어울리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기획되었다. ▲추치 레데스마 메이크업 아티스트 시연 워크숍은 15년 경력의 추치 레데스마(Chuchie Ledesma) 현지 메이크업 아티스트가 진행했다. 레데스마 메이크업 아티스트는 정샘물 아카데미의 첫 필리핀 국적 장학생으로 K뷰티 교육을 받았으며, 글로우 메이크업 등 한국의 뷰티 트렌드를 활용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메이크업을 따라하는 참가자들 레데스마 메이크업 아티스트의 강연과 시연 이후, 참가자들이 직접 메이크업을 해볼 수 있는 체험으로 이어졌다. 레데스마 메이크업 아티스트는 은은한 광이 나는 피부 표현과 자연스러움을 강조한 한국 스타일 메이크업이 참가자의 얼굴에 더 잘 어울릴 수 있도록 지도했다. 한 참가자는 “워크숍을 통해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한국 메이크업 기술을 배울 수 있어 기쁘다”라며 참가 소감을 전했다. 문화원은 한국관광공사 마닐라 지사와 함께 2024년에 이어 2회째 ‘K뷰티 글로우 업’ 행사를 개최하며 K팝과 K드라마를 넘어 K뷰티 까지 한국문화의 홍보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앞으로도 문화원은 K뷰티는 물론 웹툰, 게임, 문학 등 다양한 장르의 행사를 개최하여 한국문화의 저변을 넓혀갈 계획이다.
자세히 보기
‘나에게 어울리는 K스타일 메이크업을 찾아서’